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강아지 똥먹는 이유 강아지 식분증

일상이야기/반려견이야기

by 보오경 2020. 1. 13. 11:22

본문

강아지 응가먹는이유

강아지를 키우시는 분이라면 한번쯤 볼수있는 강아지 식분증!

강아지 식분증은 강아지가 분변을 먹는 증상을 말한다.

'똥개'라는 말이 있을정도로, 개가 똥을 먹는 일은 예전 부터 있어 왔습니다.

과연 개가 자신의 배설물을 먹는것이 이상한 일일까요 ? 

 

 

어린강아지의 식분은 흔한일

강아지 식분증에는 여러가지 원인이 있을수 있습니다.

크게는 영양결핍등 생리학적 원인과 환경이나 학습에 따른 행동학적인 이유 두가지로 나눠 볼 수 있습니다.

어린 강아지들이 자신의 똥을 먹는 경우는 비교적 흔합니다.

생후 2~3개월 된 어린 강아지들은 하루에 4~5끼를 먹어야 하는데, 제대로 영양공급이 되지 않으면 단백잘과 미네랄 등 부족한 영양분을 자신의 배설물을 먹으며 채우게 된다고 합니다.

 

단순한 호기심에도 먹기도 합니다. 넓은 장소와 충분한 놀이가 이뤄지지 않았을 때 어린 강아지들이 장난 삼아 냄새를 맡고 맛보다 습관으로 굳어지게 되는 것입니다. 

모견은 새끼를 낳고나서 3주동안은 새끼들을 핥아 줌으로써 배설물이나 대변을 씻어줍니다. 어미의 입에서 대변냄새를 맡은 새끼들은 그 냄새가 음식의 냄새인지 대변의 냄새인지 구분할 수 없으니 자연스레 다른 강아지들의 변도 먹게된다고 하는데요, 대부분 생후 9개월 이전에 이러한 증상은 사라진다고합니다.

 

보호자의 관심을 끌기 위해서 이상행동을 할수도 있다고 합니다.

강아지가 이러한 행동을 했을때 과도한 리액션, 반응에 관심을 가져준다 느껴 이러한 행동을 보이기도 한다고 합니다.

 

또한 엄격한 배변훈련이 식분증을 부추기기도 하는데요,

제대로 배변훈련이 되지 못한 상태에서 주인이 엄하게 야단을 치게되면 강아지들은 왜 혼나는지 정확히 알지 못하고 

"똥을 배변판에 싸지 않아서 혼나는것이 아니라 단지 응가를 했다는 이유로 혼나는 줄 알고 흔적을 없애기 위해 먹어치우는것" 이라고도 합니다.

 

 

 

 

식분증에관한 연구결과

  • 수컷보다 암컷이 식분증이 있을 가능성이 높다.
  • 식분증을 가진 강아지들의 92%는 1~2일 된 신선한 대변만먹는다.
  • 식분증을 가진 강아지들의 85%는 자신의 대변이 아닌 다른 강아지들의 대변을 먹는다.
  • 반려견이 1마리인 가정보다 2마리 이상 키우는 가정에서 식분증이 있을가능성이 33%더 높다.
  • 식탐이 많은 강아지일수록 식분증이 있을가능성이 높다.

앞서 언급했듯 식분증은 생후 9개월 이전에 대부분 사라지는게 정상입니다.

9월이 지나 성견이 되었으메도 식분증이 사라지지 않는다면 건강상의 문제가 원인 일 수 있습니다.

 

  • 기생충이 있는경우
  • 식단에 영양분이나 칼로리가 부족한 경우
  • 소화흡수능력이 떨어지는 경우
  • 식욕이 증가할수있는 기타 질환

또는 주변환경이나 스트레스가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 혼자서 고립된경우
  • 주인이 과하게 혼을 내는경우 : 혼날것이 두려워 대변을 먹어 증거를 없앰
  • 주인의 관심을 끌기위해 : 대변을 볼때 주인이 과하게 대처하면 주인의 관심을 끄는것으로 생각
  • 음식과 대변의 냄새를 구별하지 못함
  • 모견으로부터 잘못된 교육
  • 아픈강아지나 노령견과 함께 사는경우 : 무리생활을 하던 습성이 남아있기 때문에 아픈강아지나 노령견의 대변을 먹어지워 포식사로부터 무리를 보호하려는 습성.

식분증 해결방법

비타민보충

강아지가 먹는 사료에 비타민군이 부족하면 (특히 비타민B) 식분증이 올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효소 보충

효소가 함유된 음식을 섭취하게 해주면 식분증을 완화 혹은 없에 줄 수 있다고 합니다.

 

대변에 강아지가 싫어하는 향을 뿌리기

찾아보면 강아지가 싫어하는 향을 내는 스프레이들이 존재합니다.

강아지가 대변을 보고 나면 대변에 스프레이를 뿌려서 맛없어 보이게 만들어줍니다.

 

주변환경을 청결하게 유지

특히 대변을 본 후에는 즉시 치워주는게 좋습니다.

 

훈련

강아지가 대변을 보자 마자 간식을 들고 주인곁으로 오게 만들어서

대변을 먹는 것 보다 더 맛있는 것을 먹을 수 있다는 인식을 심어줍니다.

 

 

강아지의 식분증이 해결이 안되는 경우

동물병원에 가서 기생충은 없는지 한 번 알아보시고 건강하다면 크게 문제가 될 것은 없으니 견주분들이 조금만 부지런하게 움직이시면 될 것 같습니다!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